Geometry
2 posts
SWEA 14362 - 무한 로봇 [SWEA 문제 - Implementation, Geometry]

SWEA 14362 - 무한 로봇 D-Ⅳ 이 문제는 SWEA 문제입니다. 문제 출처 : 무한 로봇 🔥 주의할 점 k번째로 명령을 수행한 직후의 위치를 라고 할 때, 는 모든 좌표를 의미한다. 로봇이 이동을 마치고 난 후의 점이 아닌 이동 중 마주한 모든 정수 좌표들을 의미한다. 💥 How to Solve? 결과부터 말하자면, 테스트 케이스는 125개, 최대 움직임은 2500회이다. 내가 구현한 방법은 움직임이 Worst Case인 경우 총 4번을 반복해야하니 10000회 이루어지고, 모든 TC가 10000회 이루어진다해도 125만회로 제한 시간 3초 이내에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해 단순 구현 방법으로 해결했다. ‼ Point ‼ 우선 용어 몇 가지를 정의하고 시작한다. | ➡ | ⬇ | ⬅ | ⬆ | ➡ | 움직임 : 로봇이 움직인 방향을 기록한 데이터 초기 방향 : Right 시작 방향 : 첫 움직임 방향 - ex) RS 라고 한다면 맨 처음 Right에서 오른…

May 20, 2022
Algorithm
Implementation
Geometry
BOJ 9015 - 정사각형 [Data Structure, Geometry]

BOJ 9015 - 정사각형 Gold Ⅰ BOJ 9015 - 정사각형 문제 평면 위에 N개의 점이 주어졌을 때, 가장 큰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하여라. 문제 그림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점의 개수 N(4 ≤ n ≤ 3,000)이 주어지고, 이어서 N개의 줄에는 점의 x좌표와 y좌표가 주어진다. 모든 좌표는 -10000 이상 +10000이하의 정수이다. 같은 위치의 점이 여러 번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가장 큰 정사각형의 넓이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 단, 정사각형이 없는 경우 0을 출력한다. How to Solve? 점 4개를 선택해 정사각형 여부 확인하는 방법은 로 불가능하다. 그래서 처음 생각했던 방법은 대각선 두 개를 선택해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, 두 대각선의 기울기를 a1, a2라 했을 때, 즉 직교한다는 성질을 이용해 해결하려고 했다. 하지만 이 또한, …

April 27, 2022
Algorithm
Data-Structure
Geometry